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건설현장 안전사고 사례와 조사요령

by 건설안전하도급쟁이 2025. 8. 14.
반응형

건설현장은 다양한 위험요소가 상존하는 환경입니다.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과거 사례를 분석하고, 체계적인 조사 절차를 준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 글에서는 실제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대표 재해사례와 그 원인, 예방 대책, 그리고 재해조사 기본 절차를 상세히 소개합니다.


협착 사고 사례와 예방

협착은 건설현장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재해 유형 중 하나입니다. 예를 들어 터널 굴착 작업 중 광차 연결 작업을 하던 근로자가 머리가 끼어 사망한 사례가 있었습니다. 이 사고는 작업 방법 변경 첫날이었고, 사전 교육 부족과 시공계획서 검토 미비가 원인이었습니다. 또, 크레인 해체 시 겐트리 고정핀을 잘못 제거하여 구조물이 전도되며 협착이 발생한 경우도 있습니다.
예방 대책으로는 작업 전 전담 유도원 배치, 후진 및 입환 시 경보 설비 설치, 해체 순서 준수, 위험 반경 내 접근 통제 등이 있습니다. 특히, 유도 업무를 맡은 근로자에게는 다른 작업을 지시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질식 사고 사례와 예방

밀폐된 공간에서의 질식 사고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합니다. 한 사례에서는 지하 발전기실에서 엔진 양수기를 사용하던 근로자가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사망했습니다. 부검 결과 CO-Hb 농도가 약 50%로 치명적 수준이었고, 환기 및 유해가스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예방 대책은 밀폐 공간에서의 내연기관 장비 사용 금지, 충분한 환기 실시, 유해가스 농도 측정 및 감시자 배치, 사전 교육 강화입니다. 특히, 작업 전 ‘밀폐공간 작업 프로그램’을 반드시 수립해야 하며, 위험성평가를 통해 사고 가능성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추락 사고 사례와 예방

추락은 건설현장에서 가장 빈번하면서도 치명적인 사고 유형입니다. 예를 들어, 9층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중 펌프카 엔드호스를 조정하던 작업자가 안전난간을 넘어 50m 아래로 추락한 사례가 있습니다. 이 경우 안전고리 미체결과 추락방호시설 기준 미준수가 주요 원인이었습니다.
예방 대책으로는 규정에 맞는 안전난간 설치, 안전대 및 안전고리 사용 상태 감독, 작업 전 시설·시공방법 점검이 필요합니다. 또한, 교육을 통해 근로자 스스로 안전장비 착용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재해 조사 기본 절차

재해 조사는 단순한 원인 파악을 넘어 재발 방지를 위한 핵심 과정입니다. 사고 발생 시에는 즉시 응급조치와 현장 보존, 관계자 통보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후 조사팀을 구성하여 사람·기계·환경 측면에서 모든 재해 요인을 분석합니다. 조사 시에는 인적 증거(목격자 인터뷰), 물리적 증거(사진·스케치), 문서 정보(작업 기록·계획서) 등을 종합적으로 수집합니다.
조사자는 객관성을 유지하며, 책임 추궁보다 재발 방지에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또한, 수집된 자료는 시계열 분석을 통해 사고의 전개 과정을 명확히 하고, 공식 보고서를 작성해 기록으로 남겨야 합니다.


결론

건설현장의 안전은 단순히 장비나 절차에 의존해서는 확보될 수 없습니다. 협착, 질식, 추락과 같은 중대재해는 대부분 예방 가능하며, 이를 위해서는 철저한 사전 계획, 안전교육, 그리고 신속하고 정확한 사고조사가 필수입니다. 안전은 하루아침에 완성되지 않지만, 꾸준한 관리와 개선을 통해 중대재해 없는 현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

반응형